<책소개>
화학적 결혼(The Chemical Wedding)은 장미십자회의 세번째 문서로 알려져 있다. 첫번째와 두번째 문서는 장미십자회의 탄생배경과 선언서이고, 세번째 문서는 바로 화학적 결혼이라는 소설형식의 상징적 우화이야기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주인공 크리스찬 로젠크로이츠는 장미십자회를 만든 전설적 인물이지만 사후에 출간된 책이기 때문에, 그가 이 책의 저자인지, 아니면 후대에 로젠크로이츠를 모티브로 해서 이 책을 쓴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이 책이 출판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독일어『Chymische Hochzeit Christiani Rosencreutz anno 1459』인 것으로 보아 책이 실제 쓰여진 연대는 1459년이고, 출판된 년도는 1616년 스트라스부르이며, 이 책의 저자 혹은 귀속자는 요하네스 발렌티누스 안드레아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크리스찬 로젠크로이츠는 이름처럼 ‘장미십자’를 나타내고, 장미십자회의 근본 배경이 되는 인물이기에 로젠크로이츠에 대해 설명할 필요가 있다.
로젠크로이츠는 『Fama Fraternitatis』문서에서 1378년에 태어나서 106세를 살았다고 되어있다. 그러면 1484년에 죽었다는 이야기이고, 이글이 쓰여진 년도가 1459년이니 그의 나이 약 80세에 완성되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소유권자로 알려진 요하네스 발렌티누스 안드레아(1586-1654)는 독일의 신학자로 알려져 있는데, 1459년에 쓰여진 책이라면 그가 태어나기도 전에 쓰여졌기에 내가 유추하였을 때, 요하네스는 장미십자회의 상속멤버로 로젠크로이츠 사후 120년 뒤 무덤이 발견되었을 때 그 안에 있던 책들과 텍스트를 정리 및 편집한 장본인이 아닐까 한다.
다시 로젠크로이츠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Fama Fraternitatis』에 적혀진 내용에 따르면, 크리스찬 로젠크로이츠는 중세 독일에서 태어나 4세에 고아가 된 뒤, 수도원에서 12년을 보내며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배운 후, 성지순례를 떠나게 된다. 함께 성지순례를 떠났던 수도사가 중간에 죽고, 혼자 남은 로젠크로이츠는 다마스커스에 머물면서 그곳에서 현자들을 만난다. 이 현자들은 이슬람 수피교 또는 조로아스터교의 마기 또는 현자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그들과 지내면서 아랍어로 된 『M의 책』을 독일어로 번역을 한다. 이후 아라비아 반도의 담카르에서 3년을 머물고 이집트에서 식물과 생물학을 배우고, 모로코 페즈에서 연금술과 카발라를 배우며 2년을 더 머문 뒤, 스페인을 거쳐 독일로 돌아왔다. 여러 지역을 거치면서 그 지역들의 현자들을 만나 많은 지혜와 경험을 쌓았고, 고국으로 돌아온 로젠크로이츠는 몇 년이 지난 후 자신(Frater C.R.C.)과 함께 8명으로 구성된 《장미십자가 형제회》를 설립하게 된다.
그의 지시에 따라 ‘성령의 집(Sanctus Spiritus)’이라고 불리는 성전이 지어졌으며, 회원들은 각자 여러 나라를 돌다가 매년 특정 날에 집회를 하였다. 120년 후 기사단의 한 형제에 의해 무덤이 발견된 후, 그 안에서 로젠크로이츠의 유물들이 발견되면서 교단은 장미십자회를 본격적으로 세상에 알리게 된다.
장미십자회는 1614년 『Fama Fraternitatis』를 발표하고, 1615년 『Confessio Fraternitatis』를 독일에서 인쇄하였으며, 1616년 요하네스 발렌티누스 안드레아에 의해 『Chymische Hochzeit Christiani Rosencreutz anno 1459』이 발표된다.
이 책은 천지창조처럼 7일간의 여행으로 나뉘어진, 우화이자 상징적인 이야기로, 크리스찬 로젠크로이츠가 왕과 왕비, 즉 남편과 신부의 결혼식을 돕기 위해 기적이 가득한 멋진 성에 초대받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가 실제를 바탕으로 하는 것인지 아니면 허구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이야기 자체가 약간의 신화들이 겸비된 허구와 사실 그 어디쯤인 것으로 보인다.
이 이야기 주제이자 제목인 ‘화학적 결혼’은 연금술사들이 이야기하는 ‘신성한 결혼’ 이자 ‘연금술적 결합’을 뜻하며, 음과 양이 만나고 여신과 남신이 만나 새로운 형태의 왕을 잉태하는 것을 상징한다. 이것은 곧 시험, 정화, 죽음, 부활, 승천을 통한 입문의식으로 왕실의 결혼식을 돕기 위해 초대된 로젠크로이츠를 통해 결혼식의 과정이 파노라마처럼 진행된다.
이 책은 후대에 많은 연금술사들에게 상징과 영감의 원천을 만들었으며, 연금술사의 기본지침서가 되기도 했을뿐더러, 여기에 담고 있는 상징적 우화들은 후대 장미십자회 교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장미십자회는 신성로마제국 시절 중세교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비밀단체들을 탄생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후대로 내려와 프리메이슨의 영적 이념을 만드는데 큰 영향을 끼친 것만은 분명하다. 프리메이슨의 모태가 장미십자회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 책이 약 550여년 전에 쓰여진 책임에도 불구하고, 그 시대를 살았던 현자들의 생각이 현대 사람들에게 결코 뒤지지 않는 것을 보면, 현재든 과거든 미래를 여는 현자들이 있었고, 시대의식을 앞서간 현자들이 미래의 추진력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노력들이 모여 인류의 진화발전을 만들어간다. 따라서 이 책은 과거를 복원하여 현시대에 재탄생 시키는 과정이며, 이 책을 통해서 옛 현인들의 지혜와 사상들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저자소개>
크리스찬 로젠크로이츠는 1378년 독일에서 태어났다. 그의 독일식 이름은 Christian Rosenkreuz이고, 영어식 이름은 Christian Rose Cross이며, 그가 만든 단체가 바로 ‘장미십자회’이다.
로젠크로이츠란 이름은 실제 이름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이름으로 추정된다. 이 소설(화학적 결혼)에서 모자에 장미 네 송이를 부착하고 자신을 장미십자회 형제라고 말하는데, 『Fama Fraternitatis』 문서에서는 그가 아라비아에서 여러 현자들을 만났을 때 사람들은 그가 유럽의 그리스도교 수도원에서 온 사람이라고 ‘크리스찬’인이라 불렀다. 그것이 그의 이름이 되었고,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장미십자가를 자신의 성으로 붙여서,‘크리스찬 로즈 크로스(Christian Rose Cross)’가 된 것이다.
크리스찬 로젠크로이츠에 관한 이야기는 『Fama Fraternitatis』에 자세히 나오는데, 그는 중세 독일 귀족으로 4세에 고아가 되어 수도원에서 12년간 머물렀다. 이후 성지순례를 떠난 뒤 중동, 북아프리카, 스페인 등을 거치면서 다양한 인물과 많은 지혜들을 발견하고 고국으로 돌아와 8명이 모여 장미십자가 형제회를 설립한다. 이후 그의 지시에 따라 ‘성령의 집(Sanctus Spiritus)’이라 불리는 성전이 만들어졌으며, 회원들은 각자 활동하다가 매년 돌아와 만날 수 있었다. (참고로 로젠크로이츠가 살던 당시는 십자군 전쟁의 시대로, 가톨릭의 이교도 탄압이 절정에 달했던 시절로, 비밀리에 활동할 수밖에 없었다.)
『Fama Fraternitatis』문서 외에 로젠크로이츠의 출생과 신분에 관해 나온 이야기가 있는데 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작가 모리스 마그레(Maurice Magre, 1877-1941)는 로젠크로이츠를 13세기 번영을 누렸던 독일 가문 게르멜스하우젠(Germelshausen)의 마지막 후손이라고 했다. 이 가문은 튀링겐(Thuringian ) 숲에 있었다고 전해지며, 영지주의와 기독교 신앙을 결합한 카타리파 신도였다고 전해진다. 십자군 전쟁당시 로마 가톨릭은 알비십자군으로 하여금 카타리파를 몰살시키는데, 마그레의 말에 따르면 게르멜스하우젠 가문에서는 다섯 살 된 막내 아들을 제외한 모든 가족이 처형되었다고 한다. 어린 소년은 알비파 수도사에게 끌려갔고 수도원에 수용되어 그곳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이가 훗날 장미십자회 형제단을 만든 로젠크로이츠라고 한다.
로젠크로이츠 가문은 영지주의 사상을 따랐던 가문이었고, 그 또한 가톨릭에서 이교도라고 하는 고대 사상들(이집트, 그리스, 아라비아 문화 등등)을 모아 통합한 인물이다. 그는 살아서 빛을 보기보다는 죽어서 이름을 남긴 인물이 되었다.
그가 죽고 한 세기가 지난 뒤 그의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그의 무덤이 발견되면서 장미십자회 멤버들은 세상에 그의 존재와 그의 사상 및 저서들을 공표하였고, 본격적으로 세상에 장미십자 형제회의 존재를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처음 장미십자회의 선언문이 도처에 퍼졌을 때, 유럽에서는 파격적이고 진보적인 사상으로 그 당시 유럽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와 관련된 문서로는 세개의 선언문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Fama Fraternitatis』 (1614년 독일 카셀에서 출판)
이 선언문은 설립자인 ‘Frater C.R.C.’를 소개했다.
『Confessio Fraternitatis』 (1615년 독일 카셀에서 출판)
『The Chymical Wedding of Christian Rosenkreutz』 (1616 ,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출판).
이 책은 세번째 문서인『The Chemical Wedding』이고, 그가 말년에 쓴 우화적 소설이며, 그가 죽고 난 후 120여년이 지나서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그가 만든 장미십자회는 후대에 프리메이슨에게 영향을 끼쳤으며, 유럽의 비밀결사조직을 만드는 새로운 물결을 만들었다.
<역자소개>
전난영
인간관계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카르마 인간관계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문·철학 사상을 연구하는 작가이자 철학가이다. 점성학, 카발라를 비롯한 서양 신비주의 철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그래픽 아티스트이기도 하다.
[저서]
『인류통찰』
『카르마 종결자』
『인연의 도킹』
『카발라 형태장』
『태라의 점성학 1권(운명의 별)』
『태라의 점성학 2권(행운의 별)』
『치우천왕의 부활 1, 2권』
『꿈터돈』
『블랙홀 메커니즘』
『카르마와 인연법』
[e-book]
『프리메이슨의 시초』
『아브락사스』
『마고꽃』
『시간초월자』
네이버 블로그 태라의 기억의 창고
https://blog.naver.com/nanyafree